본문 바로가기
실시간뉴스들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치사율은?!

by 글쓴이입니다 2015. 6. 1.
반응형

최근 주한 미군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해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지난 5월 28일 주한 미군 탄저균 유출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주한 미군과 합동으로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주한미군탄저균 배송은 주한미군은 주한미군 통합위협인식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할 예정인 유관기관 초청 시연회에서 신규 유전자 분석장비 소개를 위해서 불활화된 상태의 탄저균 샘플을 탐지 목적으로 약 4주 전에 반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공식사과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공식사과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 배송은?





탄저균 샘플은 포자형태의 액체상태(1m)로 3중포장한 후, 냉동처리하여 민간 배송업체(FEDEX)를 통해 배송되었습니다.


액체상태의 탄저균 샘플은 분말 형태보다 감염력이 현저히 낮으며 공기중에 노출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외부 유출, 일반인 피해 전혀 없어외부 유출, 일반인 피해 전혀 없어


그 뒤에서 관련 샘플은 BSL-2급 실험실냉동고에 보관되어 있다가 5월 21일 시설 내 생물안전작업대를 이용하여 최초 해동, PCR 전처리 작업을 진행했다고 하며 27일 미 국방부로부터 검체인 탄저균 샘플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폐기하라고 통보를 받고 미51비행단 긴급대응팀은 폐기 프로토콜에 따라서 탄저균의 생균주 진위 확인 없이 무조건 폐기를 했다고 합니다.


탄저균탄저균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를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매우 위험한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사건처리에 있어서 우리나라보다는 미국, 주한미군이 전적으로 처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 답답합니다.


ITRP모의훈련 준비에 참여한 인원 22명 중 탄저백신 미접종자 15명에게 백신 접종과 시프로프록사신 항생제 예방치료 처방하였다고 하며 현재까지 감염 증상사는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사회/이슈/생활정보] - 탄저균배달사고, 질병관리본부 오산기지 직접 조사



[사회/이슈/생활정보] - 메르스 바이러스 증상, 정확히 알아보자


[사회/이슈/생활정보] - 메르스환자, 발생지역과 바이러스 증상은?


주한미군탄저균 배달사고가 일어나고 조치를 취하는 것까지 우리나라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