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흑백사진20

한국전쟁, 그 상처 14탄 한국전쟁, 그 상처는 치유되셨나요?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처, 치유가 완벽하게 되었을까요? 우리는 너무 쉽게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아직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휴전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그 사실을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전쟁,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아니 전세계적으로 전쟁의 공포나 위협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고통스러울까요? ▲ 자연도 황폐해집니다. ▲ 전쟁이란....▲ 누군가는 죽습니다. 죽어간 병사는 정말 죽을만큼 뭔가 잘못을 했나요? ▲ 전쟁으로 무엇인가 바꾸려고 하지마세요. 2014. 5. 7.
한국전쟁 시리즈 13탄 한국전쟁 시리즈최근 세월호 사건에 북한세력의 이야기를 꺼내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제는 무슨 일만 터지면 북한 북한 북한이군요. 제가 이렇게 또 글을 작성하면 종북이나 뭐니. 저는 그냥 지금 우리나라가 좋고, 전쟁을 반대하는 사람입니다. 흑백논리로 좌우를 가르는 것을 싫어합니다. 행군하는 군인들의 모습입니다. ▼ 전쟁으로 인해서 왼쪽의 집은 다 무너져내렸군요. ▼ 위장을 하려고 나뭇잎을..바닥에 누운 사람은 쉬려고 누운건가요? ▼ 길 양옆에서 휴식을 취하는 군인들입니다. ▼ 앞에는 안개(?)로 자욱한데 뛰어가는 군인입니다. ▼ 호(?) 안에서 사진을 찍은 외국군인입니다. ▼ 어디론가 이동하는 탱크들, 이것을 바라보는 한 사람 ▼ 포를 쏘는 모습이네요. 다들 귀를 막느냐고 정신이 없어요. ▼ 수 많은 포탄이.. 2014. 4. 21.
우리나라 옛날모습 사진 8탄 : 전통복식 우리나라의 옛날 모습을 흑백사진으로 구경하세요.→ 한 동안 우리나라 옛날 모습 포스팅이 뜸했었습니다. 타 주제의 포스팅을 많이 올리다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사실 전업 블로거라면 하루에 꽤 많은 주제의 글을 가지고 포스팅을 할 수 있겠지만 회사를 다니는, 그것도 주 6일제의 회사이다보니 블로거를 운영하기가 꽤나 힘들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댓글이 달리고 찾는 분들이 많이 있으면 재미있어서 계속 하게되는게 이 블로그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너무 방문자수에 연연해 하면 점점 힘들어지더라구요. ▲ 1890년 궁중 포졸의 모습입니다. ▲ 1900년 귀부인의 정장(?)의 모습인데 계절은 겨울인 것 같습니다. ▲ 1910년 귀부인의 모습입니다.살짝...뭐랄까 중국느낌이 납니다. ▲ 1900년 기녀의 모습입니다. 살짝 .. 2014. 4. 7.
한국전쟁 시리즈 12탄 한국전쟁 그리고 휴전→ 한국전쟁, 단 한번의 전쟁으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다시는 이런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우리나라도 다른 나라에서도 전쟁으로 인한 비극은 사라져야 할 것입니다. 한국전쟁의 휴전협정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6.25 한국전쟁의 종식을 위해서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협정입니다.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사령관 및 중공인민지원군 사령관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이다. 이 협정으로 인해서 한국전쟁 6.25는 정지가 되었으면 남한과 북한은 국지적 휴전상태에 들어갔습니다. ▲ 한국전쟁으로 인해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군인의 모습입니다. ▲ 포로로 사로잡힌 군인입니다. ▲ 포로로 잡힌 .. 2014. 4. 4.
한국전쟁 시리즈 11탄 우리나라 옛 사진 : 한국전쟁에 관한 흑백사진→ 오늘 뉴스를 보니까 북에서 보낸 무인정찰기로 추정되는, 아니 거의 확실한 비행기가 발견이 되었죠? 북에서는 무엇 때문에 그런 비행기를 보냈을까요? 조잡하게 보이는 비행기지만 공격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북한은 현재 전쟁을 원하는 것일까요? 전쟁을 하면 승자는 없습니다. 그냥 남과 북 모두 패자입니다. ▲ 무언가 상의중인 군인들의 모습 ▲ 3스타네요. ▲ 나무로 은폐엄폐 후 조준 및 발사 준비 ▲ 강으로 보이는 곳에 다리를 만드는 것인가요? ▲ 들것에 실려오는 부상당한 군인입니다. ▲ 탱크와 2열 종대로 지나가는 군인들 ▲ 행군하는 군인 ▲ 호안에서 전쟁을 하고 있는 군인들의 모습입니다. ▲ 어느 건물 안의 모습 ▲ 부러진 전신주 ▲ 다 타고 앙상.. 2014. 4. 3.
한국전쟁 시리즈 10탄 : 6.25 납북자 현황 한국전쟁 6.25 납북자 현황→ 북한은 6·25 전쟁 중 정치적 목적으로 상당수의 유력인사를 납치하는 한편, 부역동원 및 인민군 충원(의용군)을 위해 다수의 인원을 강제 동원한 것으로 추정 → 전쟁발생 직후부터 1963년까지 납치가족 및 정부차원에서 수차례에 걸쳐 납치자 명부를 작성 * 6·25 전쟁 납북자 주요 명부 1번 : 서울지역에 국한, 유명인사 위주로 작성 2번 : 휴전회담 협상용으로 전국 기초행정조직을 활용하여 작성 3번 : 국무회의에 숫자가 인용되어 있으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4번 : 2번 명단을 추가 보완하여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5번 : 의용군 제외, 세대주 중심으로 작성 6번 : 국제적십자사를 통한 안부의뢰를 위해 대한적십자사가 2달간 가족 신고를 받아 작성 7번 .. 2014. 3. 28.
한국전쟁 시리즈 9탄 : 16개국 참전과 전쟁의 결과 한국전쟁 (6.25) : 16개국 참전과 전쟁의 결→ 6.25전쟁 당시 참전국은 1951년 초까지 총 16개국이었다. 군대파견을 신청한 국가 21개국 중 실제로 파병을 한 16개 국가의 분포는 미국, 캐나다 북미 2개국, 콜럼비아 남미 1개국,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아시아 4개국, 남아공화국, 에티오피아 아프리카 2개국, 영국, 벨기에, 프랑스, 그리스, 룩셈베르그, 네덜란드, 터키 유럽 7개국 이다. 이들 참전국들은 유엔이 요구하는 최소규모인 1개 대대 병력(약 1,200명) 이상을 파견하였다. 주요 참전병력은 1953년을 기준으로 영국 약 1만 4,200명, 캐나다 약 6,100여 명, 터키 약 5,500여 명, 호주 2,200여 명 등이다. 1953년까지 한국전에 참여한 연합군은 미국을 .. 2014. 3. 26.
한국전쟁 시리즈 8탄 : 6.25 전쟁 참전국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의 참전국→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국제전쟁이자 최악의 전쟁이었습니다. 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25개국이 참여한 국제전쟁이자 제 2차, 제2차 세계대전에 이어 가장 큰 피해를 낸 한국전쟁, 한반도 인구 3,000만명의 절반이 넘는 1,800여만명이 피해를 입은 한국전쟁에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미국, 영국 등 전투병 지원국 16개국과 인도를 포함해 5개의 의료지원국 등 총 21개의 UN연합국이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 UN군 참전현황 ▲ 수 많은 나라에서 우리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던져 대신 싸워주었습니다. ▲ 어디론가 돌격하는 모습의 군인 ▲ 어린 소년처럼 보이는 군인의 모습이네요. ▲ 일반 거리처럼 보이지만 군인들만 보이네요. ▲ 강.. 2014. 3. 24.
한국전쟁 시리즈 7탄 한국전쟁의 결과 → 한국전쟁은 남북 양쪽에 약 150만명의 사망자와 360만 명의 부상자를 냈다고 합니다. 이 좁은 땅에서 한국전쟁으로 인해서 수 많은 인명이 목숨을 잃거나 크게 다쳤습니다. 그리고 국토의 피폐화, 특히 폭격으로 인한 북한지역의 피해는 남한에 비해 더욱 극심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전쟁으로 인해서 남한의 경우 반공 이데올로기가 초법적 권위를 지니고 전 사회를 지배하게 되면서 또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였습니다. ▲ 한 겨울에 진지에서 누워 사격지향자세를 하는 군인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 농기구로 보이는 것이 논/밭으로 보입니다. ▲ 산 꼭대기에 폭격이 시작이 된 것일까요?저런 폭격으로 인해서 국토는 점점 피폐해져 가고 있었습니다. ▲ 겨울에 전쟁을 치르는 군인의 모습입니다. ▲ 우리나라 군인의.. 2014.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