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5

한국전쟁 시리즈 13탄 한국전쟁 시리즈최근 세월호 사건에 북한세력의 이야기를 꺼내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제는 무슨 일만 터지면 북한 북한 북한이군요. 제가 이렇게 또 글을 작성하면 종북이나 뭐니. 저는 그냥 지금 우리나라가 좋고, 전쟁을 반대하는 사람입니다. 흑백논리로 좌우를 가르는 것을 싫어합니다. 행군하는 군인들의 모습입니다. ▼ 전쟁으로 인해서 왼쪽의 집은 다 무너져내렸군요. ▼ 위장을 하려고 나뭇잎을..바닥에 누운 사람은 쉬려고 누운건가요? ▼ 길 양옆에서 휴식을 취하는 군인들입니다. ▼ 앞에는 안개(?)로 자욱한데 뛰어가는 군인입니다. ▼ 호(?) 안에서 사진을 찍은 외국군인입니다. ▼ 어디론가 이동하는 탱크들, 이것을 바라보는 한 사람 ▼ 포를 쏘는 모습이네요. 다들 귀를 막느냐고 정신이 없어요. ▼ 수 많은 포탄이.. 2014. 4. 21.
한국전쟁 시리즈 12탄 한국전쟁 그리고 휴전→ 한국전쟁, 단 한번의 전쟁으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다시는 이런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우리나라도 다른 나라에서도 전쟁으로 인한 비극은 사라져야 할 것입니다. 한국전쟁의 휴전협정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6.25 한국전쟁의 종식을 위해서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협정입니다.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사령관 및 중공인민지원군 사령관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이다. 이 협정으로 인해서 한국전쟁 6.25는 정지가 되었으면 남한과 북한은 국지적 휴전상태에 들어갔습니다. ▲ 한국전쟁으로 인해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군인의 모습입니다. ▲ 포로로 사로잡힌 군인입니다. ▲ 포로로 잡힌 .. 2014. 4. 4.
한국전쟁 시리즈 11탄 우리나라 옛 사진 : 한국전쟁에 관한 흑백사진→ 오늘 뉴스를 보니까 북에서 보낸 무인정찰기로 추정되는, 아니 거의 확실한 비행기가 발견이 되었죠? 북에서는 무엇 때문에 그런 비행기를 보냈을까요? 조잡하게 보이는 비행기지만 공격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북한은 현재 전쟁을 원하는 것일까요? 전쟁을 하면 승자는 없습니다. 그냥 남과 북 모두 패자입니다. ▲ 무언가 상의중인 군인들의 모습 ▲ 3스타네요. ▲ 나무로 은폐엄폐 후 조준 및 발사 준비 ▲ 강으로 보이는 곳에 다리를 만드는 것인가요? ▲ 들것에 실려오는 부상당한 군인입니다. ▲ 탱크와 2열 종대로 지나가는 군인들 ▲ 행군하는 군인 ▲ 호안에서 전쟁을 하고 있는 군인들의 모습입니다. ▲ 어느 건물 안의 모습 ▲ 부러진 전신주 ▲ 다 타고 앙상.. 2014. 4. 3.
한국전쟁 시리즈 7탄 한국전쟁의 결과 → 한국전쟁은 남북 양쪽에 약 150만명의 사망자와 360만 명의 부상자를 냈다고 합니다. 이 좁은 땅에서 한국전쟁으로 인해서 수 많은 인명이 목숨을 잃거나 크게 다쳤습니다. 그리고 국토의 피폐화, 특히 폭격으로 인한 북한지역의 피해는 남한에 비해 더욱 극심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전쟁으로 인해서 남한의 경우 반공 이데올로기가 초법적 권위를 지니고 전 사회를 지배하게 되면서 또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였습니다. ▲ 한 겨울에 진지에서 누워 사격지향자세를 하는 군인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 농기구로 보이는 것이 논/밭으로 보입니다. ▲ 산 꼭대기에 폭격이 시작이 된 것일까요?저런 폭격으로 인해서 국토는 점점 피폐해져 가고 있었습니다. ▲ 겨울에 전쟁을 치르는 군인의 모습입니다. ▲ 우리나라 군인의.. 2014. 3. 18.
한국전쟁 시리즈 4탄 : 전쟁반대합니다. * 한국전쟁은 어떻게 일어났을까요?→ 북한은 사회 교란만으로는 대한민국 정부를 뒤집기 어렵다는 판단이 서자 전쟁과 평화라는 두 얼굴 작전을 구사합니다. 북한이 나서서 통일 정부를 이룩하기 위한 남북한 지도자들의 정치 협상을 주장하고 이를 대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북한은 겉으로 이렇게 평화 협상을 내걸었지만, 속으로는 호시탐탐 전쟁을 일으킬 기회만을 노렸습니다. 한반도에 주둔해 있던 미군이 철수하자 북한은 드디어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한반도를 미국의 극동 방위선에서 제외한다는 발표도 있었습니다. 한반도에 공산군이 침략해도 미국이 이를 방위하지 않겠다는 것이죠.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은 이러한 정세가 전쟁의 호기라고 판단했습니다. 김일성은 비밀리에 소련을 방문하여 소련과 중국의 전쟁 지원 약속을 받.. 2014.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