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시간뉴스들

총리 후보, 없어도 굴러간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 부담은 새로운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이 늦어질수록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역대 정부에서도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 적합한 새 총리를 찾는데 고심한 전례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 이명박 정부 당시 정운찬 총리의 사퇴 이후입니다.


당시 서울대 총장을 지냈던 충남 공주 출신의 정 전 총리는 앞서 부여 출신의 김종필 전 총리, 청양의 이해찬 전 총리 등에 이은 충청권 총리이자 취임과 동시에 차기 대선 주자 물망에 오른 인물이 바로 정운찬 총리입니다. 


역대 국무총리 공백 현황역대 국무총리 공백 현황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위장 전입, 자식의 국적·병역 문제 등이 불거졌지만 가까스로 야당의 동의를 얻어 총리에 올랐지만 전임 노무현 정부의 세종시 개발에 맞선 정부 수정안을 대변하면서 정치권과 여론의 질타를 받았고 이는 2010년 6·2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하는 빌미가 되었고 결국 정운찬 전 총리는 취임 10개월 만에 "모든 책임과 허물을 짊어진다"며 물러났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이명박 정부는 궁지에 몰린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서 전면적인 개각설을 공식화하였으나 당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의 직무대행 체제는 무려 51일 동안 이루어졌었습니다.

이것은 역대 총리 공백기간 가운데서 최장 기록입니다.

결국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김황식 당시 감사원장을 총리로 지명하였고 김황식 전 총리는 최초의 전남 출신 총리였고 2년 2개월 비교적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했다고 합니다.


아무튼 현재 한달에 걸친 총리 부재로 일부에서는 국정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연계 문제로 난관에 봉착한 현 상황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정부 측을 대변하며 갈등 해결을 모색해야 할 총리가 갑자기 빠지면서 수습이 원활치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하루 빨리 원할한 국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라도 제대로된 총리가 선임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