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5 우리나라, 고문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요? 현재 우리나라에 대한 국민의 생각은 어떨까요?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이 구금된다면 고문을 당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국제앰네스티는 유엔(UN) 고문방지협약 채택 30주년을 맞아 국제여론조사기관 글로브스캔을 통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21개국 시민 2만1천여명을 대상으로 벌인 "고문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그 중 한국에서는 글로브스캔과 동아시아연구원 공동 주관으로 19세 이상 남녀 1천여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고문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 54%가 "자국에서 구금될 경우 나는 고문으로부터 안전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질문에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 2014. 5. 13. 뉴욕타임즈, 진실을 밝혀라(Bring the truth to light) 뉴욕타임즈에 세월호 관련 광고가 전면에 실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이런 광고가 전면에 실리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는 언론자유국가가 아닙니다. 부분적언론자유국가입니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정치적으로 악용하는게 아니냐며 말이죠. 300여명이 배에 갇혀있었고 단 한 명도 구조하지 못했습니다. 이게 우리나라 정부의 현실입니다. 세월호 사건을 보면서 답답함과 분노를 내 조국 대한민국에 느낍니다. ⓒ 뉴욕타임즈 세월호 광고 "진실을 밝혀라(Bring the truth to light)" 왜 대한민국 국민들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분노했는가? 300여명이 배 안에 갇혀 있었지만 구조된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어떤 뉴스기사 제목에서는 대대적인 수색작업을 펼친다고.. 2014. 5. 12. 한국전쟁, 그 상처 14탄 한국전쟁, 그 상처는 치유되셨나요?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처, 치유가 완벽하게 되었을까요? 우리는 너무 쉽게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아직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휴전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그 사실을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전쟁,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아니 전세계적으로 전쟁의 공포나 위협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고통스러울까요? ▲ 자연도 황폐해집니다. ▲ 전쟁이란....▲ 누군가는 죽습니다. 죽어간 병사는 정말 죽을만큼 뭔가 잘못을 했나요? ▲ 전쟁으로 무엇인가 바꾸려고 하지마세요. 2014. 5. 7. 한국전쟁 시리즈 13탄 한국전쟁 시리즈최근 세월호 사건에 북한세력의 이야기를 꺼내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제는 무슨 일만 터지면 북한 북한 북한이군요. 제가 이렇게 또 글을 작성하면 종북이나 뭐니. 저는 그냥 지금 우리나라가 좋고, 전쟁을 반대하는 사람입니다. 흑백논리로 좌우를 가르는 것을 싫어합니다. 행군하는 군인들의 모습입니다. ▼ 전쟁으로 인해서 왼쪽의 집은 다 무너져내렸군요. ▼ 위장을 하려고 나뭇잎을..바닥에 누운 사람은 쉬려고 누운건가요? ▼ 길 양옆에서 휴식을 취하는 군인들입니다. ▼ 앞에는 안개(?)로 자욱한데 뛰어가는 군인입니다. ▼ 호(?) 안에서 사진을 찍은 외국군인입니다. ▼ 어디론가 이동하는 탱크들, 이것을 바라보는 한 사람 ▼ 포를 쏘는 모습이네요. 다들 귀를 막느냐고 정신이 없어요. ▼ 수 많은 포탄이.. 2014. 4. 21. 한국전쟁 시리즈 8탄 : 6.25 전쟁 참전국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의 참전국→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국제전쟁이자 최악의 전쟁이었습니다. 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25개국이 참여한 국제전쟁이자 제 2차, 제2차 세계대전에 이어 가장 큰 피해를 낸 한국전쟁, 한반도 인구 3,000만명의 절반이 넘는 1,800여만명이 피해를 입은 한국전쟁에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미국, 영국 등 전투병 지원국 16개국과 인도를 포함해 5개의 의료지원국 등 총 21개의 UN연합국이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 UN군 참전현황 ▲ 수 많은 나라에서 우리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던져 대신 싸워주었습니다. ▲ 어디론가 돌격하는 모습의 군인 ▲ 어린 소년처럼 보이는 군인의 모습이네요. ▲ 일반 거리처럼 보이지만 군인들만 보이네요. ▲ 강.. 2014. 3.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