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급3

서울우유 월급 대신 유제품 지급이 자발적? 여러분 월급을 받을 때 무엇으로 받나요? 쌀?고기?옷?신발? 최근 월급 대신 유제품을 받아서 논란이 되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우유죠.그렇다면 왜 월급 대신 유제품을 지급했을까요? 그 이유는 바로 회사가 적자라는 것입니다. 서울우유처럼 월급 대신 현물로 받는 것이 과연 근로기준법에 비춰볼 때 합법적일까? 이러한 행위는 명백하게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근로기준법을 살펴보면 43조 1항에는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해야 한다"라고 명시가 되어 있으며 2항에는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에 정해 지급해야 한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위와 같이 근로기준법에는 임금 지급에 대해서 직접ㆍ전액ㆍ통화ㆍ정기일 지급이라는 4가지 기본 원칙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우유에서는 통화.. 2015. 10. 19.
연말정산논란, 세금폭탄 이유는 무엇? 13월의 보너스라고 불리우던 연말정산, 그런데 이 연말정산논란으로 인해서 불만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을 했더니 보너스는 커녕 세금폭탄을 내라고 하니 어떻게 해야할까요? 다음 달 월급을 받아보면 얼마를 돌려받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겠지만은 사전에 미리 계산을 해보면 생각보다 환급액이 적거나 오히려 세금을 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말정산과 관련해서 논란이 일고 불만이 커지자 정부에서는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지만 처음부터 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제도 왜 불만인가? 기존 "많이 걷고 많이 돌려주는 방식"에서 "적게 걷고 적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직장인들이 세금 폭탄이라고 느낀다고 정부는 긴급 브리핑을 열어서 설명했습니다. 결정세액이 증가하느냐 감소하느.. 2015. 1. 19.
국내 1000대 기업의 평균 연봉 지역별 순위가 궁금하다. 국내 1000대 기업의 최하위 직급인 사원의 평균 연봉은 2556만원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울산시의 경우 4107만원에 달해 큰 격차를 보였다고 합니다. 국내 1000대 기업 직급별 평균연봉을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평균연봉 1위를 차지한 울산지역의 직급별 평균연봉은 사원 4,107만원, 대리 4,394만원, 과장 4,730만원, 차장 5,368만원, 부장 5,729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위를 차지한 경기도의 경우에는 사원 2,922만원, 대리 3,293만원, 과장 4,228만원 차장 4,971만원, 부장 5,457만원으로 나타났으며, 경북은 사원 3,297만원, 대리 3,506만원, 과장 4,331만원 차장 5,040만원 부장 5,346만원의 평균연봉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경남지.. 2014.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