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전쟁2 한국전쟁 시리즈 10탄 : 6.25 납북자 현황 한국전쟁 6.25 납북자 현황→ 북한은 6·25 전쟁 중 정치적 목적으로 상당수의 유력인사를 납치하는 한편, 부역동원 및 인민군 충원(의용군)을 위해 다수의 인원을 강제 동원한 것으로 추정 → 전쟁발생 직후부터 1963년까지 납치가족 및 정부차원에서 수차례에 걸쳐 납치자 명부를 작성 * 6·25 전쟁 납북자 주요 명부 1번 : 서울지역에 국한, 유명인사 위주로 작성 2번 : 휴전회담 협상용으로 전국 기초행정조직을 활용하여 작성 3번 : 국무회의에 숫자가 인용되어 있으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4번 : 2번 명단을 추가 보완하여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명부는 미발견 5번 : 의용군 제외, 세대주 중심으로 작성 6번 : 국제적십자사를 통한 안부의뢰를 위해 대한적십자사가 2달간 가족 신고를 받아 작성 7번 .. 2014. 3. 28. 한국전쟁 시리즈 9탄 : 16개국 참전과 전쟁의 결과 한국전쟁 (6.25) : 16개국 참전과 전쟁의 결→ 6.25전쟁 당시 참전국은 1951년 초까지 총 16개국이었다. 군대파견을 신청한 국가 21개국 중 실제로 파병을 한 16개 국가의 분포는 미국, 캐나다 북미 2개국, 콜럼비아 남미 1개국,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아시아 4개국, 남아공화국, 에티오피아 아프리카 2개국, 영국, 벨기에, 프랑스, 그리스, 룩셈베르그, 네덜란드, 터키 유럽 7개국 이다. 이들 참전국들은 유엔이 요구하는 최소규모인 1개 대대 병력(약 1,200명) 이상을 파견하였다. 주요 참전병력은 1953년을 기준으로 영국 약 1만 4,200명, 캐나다 약 6,100여 명, 터키 약 5,500여 명, 호주 2,200여 명 등이다. 1953년까지 한국전에 참여한 연합군은 미국을 .. 2014. 3.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