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시간뉴스들

일본세계유산등재 확정되자 돌변, 강제노동 인정안해?

화장실을 들어갈때랑 나올때가 다르다고 하더니 일본이 징용시설의 세계유산 등재를 성사시키자마자,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일본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강제 노역을 했음을 인식했다고 강제 노역 사실을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


이순신과 명량해전 


그런데


일본이 세계유산등재가 확정이 되자마자 돌변했습니다.


일본 대표의 발언에서 'forced to work'란 표현 등은 '강제 노동'을 의미하는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또한 일본어판 번역문에선 '원하지 않음에도 일하게 됐다'는 표현만 남기고 아예 강제성을 뺐습니다. 



왜 일본은 마음을 바꾸었을까?

바로 위자료와 체불임금 소송 때문입니다.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보상 문제가 끝났다는 점을 강조한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이러한 일본세계유산등재 돌변한 태도에 우리나라 외교부에서는 '강제 노동'을 명시한 영문 발표문이 정본이라며 일일이 맞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조금 더 적극적으로 대응을 해야하는 것이 아닐까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이 등재 신청한 근대 산업시설에서 1940년대 상당수 조선인 등이 본인의 의사에 반한 강제 노동을 한 사실이 있다는 일본 측 발언에 주목한다는 주석을 달아, 결정문에 반영하도록 했습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우리의 우려가 충실해 반영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우리의 전방위적인 외교노력이 이루어 낸 값진 성과"라고 자화자찬을 했지만 우리 정부는 아무런 기준이나 조건을 만들어놓지도 않은 무능한 외교를 한 것처럼 생각이 듭니다. 


일본 세계유산 등재 주요 강제노동 동원시설일본 세계유산 등재 주요 강제노동 동원시설


의장국인 독일을 비롯한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들은 양국의 합의가 없을 경우 표결이 아니라 내년으로 심의가 넘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었습니다다. 


그렇게 될 경우 내년에는 우리나라가 위원국 지위를 유지하는 반면 일본은 위원국에서 빠지기 때문에 우리에게 굉장히 유리한 상황이 될 수 있었습니다.


독도 연예인 이승철, 일본에서 블랙리스트로 관리


그런데 이러한 상황을 우리는 무능외교로 스스로 포기한 것입니다.